메가톤이란?
먼저 메가콘은 학과 동아리 메가브레인과 해커톤을 합친 합성어로 학과 동아리 내에서 진행한 작은 해커톤이라고 생각하면 좋겠다.
우리 해커톤은 동아리원들 개발 사기 증진을 목적으로 개최된 간단한 행사이다.
메가톤은 기획 1주일, 개발 시간은 24시간으로 구성 되어 실질적인 코딩은 24시간 안에 이뤄지는 과정이다.
우리 팀이 만든 프로덕트
사실 출시를 하지 않기 때문에 이름을 정확히 정하진 않았는데, 시대생이라는 애플리케이션을 보며 우리가 계속 구상해 오던 앱이었기 때문에 별칭(?) 정도로 인제생이라고 지어줬다.
https://devung.notion.site/2023-eb0fa635e58f46b3bc03bb41145a6980
메가톤 2023
상상을 실제로 만들어 내는 즐거움, 메가톤 2023
devung.notion.site
메가톤 두 팀의 프로덕트를 볼 수 있는 페이지인데, 우리 팀의 기획과 결과를 모두 볼 수 있다. 팀 명은 "(백엔드 > 프론트) 팀"이다.
앱 주요 기능
- 개강 시계, 종강 시계
- 학교 기능 바로가기(홈페이지, 사이버 강의실, 도서관, 웹메일, 학교 셔틀버스 등등)
- 이 주의 학식 정보 제공
- 학교 셔틀버스 및 학교 앞 시내버스 정류장 정보 제공
- 학교 공지, 학과 공지, 비교과 활동 정보 제공
- 학사 일정 제공
우리 학교 학생들을 위한 유틸리티 앱정도라고 생각하면 좋을 거 같다. 1차 스펙은 이 정도지만, 에브리타임보다 더 편한 우리 학교 커뮤니티 & 유틸리티 앱을 기획하고 만들었다.
기술 스택
- React-Native
- Native-Base (UI Library)
- React-Query
- Emotion-Native
- Recoil (State Management)
시연 영상
먼저 시연 영상이다. 내가 프론트엔드를 맡아 혼자 작업한 결과다. Native Base라는 UI Library를 사용하여 깔끔하게 UI를 구성해 보았다.
Task Flow
개발 전 기획 과정에 Task Flow를 작성하여 개발 우선순위 및 UX를 고려하였다.
기획한 것과 다르게 개발된 스크린도 있지만, 대부분의 스크린은 제대로 구현되었다. 컴포넌트도 잘 나눠서 구현하였다.
다음은 파일 구조 사진이다. 다음과 같이 나눠 개발을 진행하였다. 자세한 코드는 다음 레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github.com/inje-megabrain/IJS-FE
GitHub - inje-megabrain/IJS-FE: 메가톤 2023 인제생 프론트엔드 레포지토리
메가톤 2023 인제생 프론트엔드 레포지토리. Contribute to inje-megabrain/IJS-F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후기
처음 해보는 해커톤 주최, 진행, 기획, 개발이어서 미숙한 점이 많았던 것 같다. 특히 백엔드와의 소통 부분에서 조금 미숙한 부분이 많았던 것 같다. 더 많이 성장할 수 있는 시간이었던 거 같아 너무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