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줄임말 Loss sensitive(손실에 민감함), Delay insensitive(지연에 둔감) 데이터의 수신 확인, 재전송 요구을 해줌 고로 속도가 느림 특성: flow control(흐름 제어), connection management(연결 설정), segment structure(세그먼트 구조) OSI 7 Layer의 4계층에 해당한다. 예 : MRI촬영은 환자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라 느리더라도 확실하게 손실 없이 제대로된 데이터를 받아오는 것이 중요하므로 신뢰성 있는 TCP를 사용한다. TCP 헤더 Source Port (16bit): 출발지 포트 번호를 표시 Destination Port (16bit): 목적..
Q. P2P Architecture에 대해 설명하고 이들 트래픽이 통신 회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술 하시오 https://vimeo.com/363940176 1. P2P란 Peer to Peer Protocol의 줄임말로 사용자와 사용자 간의 파일 공유를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파일 공유시 하나의 배포자에게 받는 방식이 아닌 새로운 수신자가 다음 수신자에게 데이터의 일부를 넘겨주는 방식이다. 여기서 Peer은 사용자의 의미로 같은 계층끼리 파일을 주고 받는다. 저작권이 보호되지 않으며 대표적으로 Bit Torrent와 Skype가 있다. 2. 통신회사에게 미치는 영향으론 통신망의 상당수가 P2P 트래픽을 사용하고 있다. 통신회사는 이들 통신에 대한 비용도 받지 못하고, 이들 통신의 데이터..
1. Packet Switching -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쪼개서 전송하는 방식 장점 KISS(Keep it Simple Stupid)에 따라 장비가 싸다 - 시작점(source)과 도착점(destination)의 정보를 제외하고 자세한 기록을 하지 않고, 지나다니는 데이터를 읽을 수 없기 때문에 장비가 저렴하다. 하나의 선 즉 공용선으로 여러명이 이용하고 공용선을 통한 회선 결정 알고리즘을 이용하기에 자원 활용이 좋다. 단점 패킷이 라우터로 이동하기 위해서 큐에서 대기하는데 이 때 패킷망이 큐의 범위를 초과하면 손실이 발생 한다. 2. Circuit Switching - 하나의 회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형식 장점 회선 전체를 독점(dedicate) 하기 때문에 다른 데이터가 끼어들지 못한다. 고로..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모델은 네트워크를 이루는 구성요소를 7단계의 계층으로 나누고 각 계층의 표준을 정한 네트워크 모델이다. 7계층의 목적은 Divide and conquer, 즉 복잡 한 네트워크들을 계층으로 나누어서 해결하기 위함이다. OSI 7계층 기능 7계층 Application Layer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사용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계층이다. 프로토콜: HTTP, FTP,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6계층 Presentation Layer 시스템에서 교환 되는 정보의 암호화, 압축, 변환 인코딩, 디코딩, 코드변환 등 5계층 Session Layer 응용 프로그램 간의 연결을 지원해줌 (Ch..